[숙향] 펀드(숙향) 2025-04-30
외부기고 | 25.05.01
작성자 : 숙향
2025-04-30 (가치투자연구소 공개 - 펀드(숙향))
투자는 멀리 보면 쉽지만 가까이 보면 알 수 없다! – 워런 버핏
시장 지수 및 투자 실적 비교 |
펀드(숙향) | |||||
지수: |
2024-12-31 |
2025-04-30 |
변동 (연간) |
연 수익률 |
지수 대비 | |
Kospi: |
2,399.49 |
2,556.61 |
157.12 |
6.5% |
13.5% |
6.9% |
Kosdaq: |
678.19 |
717.24 |
39.05 |
5.8% |
7.7% | |
지수: |
2025-03-31 |
2025-04-30 |
변동 (월간) |
월 수익률 |
지수 대비 | |
Kospi: |
2,481.12 |
2,556.61 |
75.49 |
3.0% |
12.4% |
9.4% |
Kosdaq: |
672.85 |
717.24 |
44.39 |
6.6% |
5.8% |
1. 2025년 4월 평가
1-1.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이 된 지, 이제 겨우 100일이 되었다고 합니다.
- 매일같이 들려오는 그의 혼란을 부추기는 헛소리로 워낙 힘들었기에 1년은 지난 것 같은데 말이죠.
- 4/30 아침, 한 민주당 국회의원이, 축전 대신, 7가지 사유를 들어 ‘탄핵 소추안’을 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 ‘벌거숭이 임금’을 둘러싸고 있는 자들과 본인은 애써 부인하겠지만, 힘이 빠진 모습입니다.
트럼프 항복
- Financial Times 4/14, 칼럼에서 쓴 표현인데
-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서 중국이 선방을 넘어 미국의 약점을 공략하는 행태를 보이는데다
- 어린애 자존심 싸움하듯이 공은 중국에 있으니 당신들이 협상에 응하라며 흰소리를 하고 있으니
- 트럼프가 따돌림 받고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만큼 주식시장 분위기는 좋아지는 모양샌데
- (자국 보호)관세 부과에 따른 물가 상승은 서서히 나타날 텐데, 잘 수습이 될지 지켜볼 일입니다.
그러든 말든 경제는 발전할 것이고 주식도 오를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 (가치)투자자는 가치에 비해 싼 주식을 매수할 뿐
- 요동치는 시장은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4/4,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탄핵이 인용되면서 6/3,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었습니다.
- 현재 유력 후보가 제시하는 정책들이 주식시장에는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데
- 상법개정, 배당 분리과세 등 실질적인 Value-Up 정책이 될 듯
숙향은 한 모임에서 올해 11월30일 현재 Kospi지수가 3,000을 넘는다는 데 저녁 내기를 걸었습니다.
- 내기를 걸 작년 연말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였고
- 내기 상대방은 11월 전에 잠깐이라도 3,000을 넘기면 인정하겠다는 동정어린 제의를 했지만 뿌려쳤는데
- 뜻밖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숙향이 이길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순전히 혼자만의 생각?^^
1-2. 4월 한달 동안 시장은 + 3.0% 상승했고 펀드(숙향) 평가수익률은 + 12.4% 불어남으로써 시장을 + 9.4% 이겼습니다. 숙향에게는 엄청난 4월!
- 이번 달에 입금된 배당금 27,726,630원(4.0%)이 한몫 했고
- 가치주들의 주가가 강했습니다.
1-3. 외국인은 2024년 8월 이후 9개월 연속해서 매도 중입니다.
- 이번 달에는 Kospi시장에서만 9.6조원을 매도했음에도
- 우리 시장은 오히려 상승했다는 점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Exiting Korea!
Kospi시장 매매 주체 2025-04-01 ~ 04-30 (단위: 조원) |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1Q |
2025년4월 |
외국인 |
-24.9 |
-22.5 |
-9.3 |
6.0 |
2.3 |
-6.4 |
-9.6 |
국내기관 |
-22.9 |
-36.3 |
-11.8 |
-1.4 |
1.5 |
2.5 |
3.3 |
개인 |
45.4 |
62.2 |
20.8 |
-5.6 |
-6.3 |
0.8 |
4.8 |
2. 투자 실적
올해 들어 시장은 + 6.5% 상승했고 펀드(숙향)의 평가수익률은 + 13.5%로 시장과의 괴리율은 + 7.0%입니다.
- 펀드 운용을 시작한 2021년 10월 1일 기준으로 3년 7개월이 지난 현재 시장은 – 16.7% 하락한 데 비해 펀드(숙향)의 평가수익률은 + 55.0%로 시장을 71.7% 이기고 있습니다.
- 연 복리수익률은 + 13.0%입니다.
시장 지수와 투자 수익률 비교 |
|
|
|
2025-04-30 | |||||
연도 |
Kospi |
펀드(숙향) 투자금 변화 |
Kospi 대비 | ||||||
2021-10 |
3,068.82 |
지수등락 |
등락률 |
5억 투자 |
연초 |
연말 |
손익 |
수익률 | |
2021-12 |
2,977.65 |
-91.17 |
-3.0% |
485,146 |
500,000 |
501,736 |
1,736 |
0.3% |
3.3% |
2022-12 |
2,236.40 |
-741.25 |
-24.9% |
364,375 |
501,736 |
468,468 |
-33,268 |
-6.6% |
18.3% |
2023-12 |
2,655.28 |
418.88 |
18.7% |
432,622 |
468,468 |
542,843 |
74,375 |
15.9% |
-2.9% |
2024-12 |
2,399.49 |
-255.79 |
-9.6% |
390,947 |
542,843 |
682,784 |
139,941 |
25.8% |
35.4% |
2025-04 |
2,556.61 |
157.12 |
6.5% |
416,546 |
682,784 |
774,860 |
92,076 |
13.5% |
6.9% |
|
|
|
|
|
|
|
|
|
|
계 |
|
-512.21 |
-16.7% |
|
|
|
274,860 |
55.0% |
71.7% |
3 + 7/12년 평균 수익률: |
-4.7% |
|
|
|
|
15.3% |
20.0% | ||
연 복리수익률: |
-5.0% |
|
|
|
|
13.0% |
18.0% |
3. 보유주식 현황 (2025-04-30)
펀드(숙향 1) - 배당금 인출 |
운용기간: 18년 (2021-10-01 ~ 2039-09-30) |
운용금액: 총 5.0억 | ||||||
종 목 |
잔 고 |
보유 주식 평가 |
보유 비중 |
평가손익률 |
매매 손익 | |||
수 량 |
매수단가 |
매수 금액 |
현재가 |
평가 액 | ||||
농심홀딩스 |
350 |
69,842 |
24,444,810 |
67,100 |
23,485,000 |
3.6% |
-3.9% |
|
대덕 |
3,300 |
6,752 |
22,281,730 |
7,910 |
26,103,000 |
4.0% |
17.1% |
|
메가스터디 |
4,000 |
12,755 |
51,020,070 |
10,660 |
42,640,000 |
6.6% |
-16.4% |
|
모토닉 |
4,000 |
8,351 |
33,403,660 |
9,590 |
38,360,000 |
5.9% |
14.8% |
|
무학 |
4,000 |
6,250 |
24,999,030 |
7,290 |
29,160,000 |
4.5% |
16.6% |
|
미창석유 |
0 |
#DIV/0! |
0 |
103,200 |
0 |
0.0% |
#DIV/0! |
8,090,480 |
부국증권(우) |
2,200 |
21,959 |
48,310,690 |
21,700 |
47,740,000 |
7.4% |
-1.2% |
|
서원인텍 |
7,500 |
5,599 |
41,991,918 |
5,340 |
40,050,000 |
6.2% |
-4.6% |
|
신영증권 |
2,200 |
60,681 |
133,497,861 |
89,300 |
196,460,000 |
30.4% |
47.2% |
|
진양홀딩스 |
10,000 |
2,735 |
27,354,924 |
3,050 |
30,500,000 |
4.7% |
11.5% |
|
코리안리 |
4,800 |
5,296 |
25,421,762 |
8,100 |
38,880,000 |
6.0% |
52.9% |
|
한국자산신탁 |
15,000 |
3,741 |
56,117,530 |
2,330 |
34,950,000 |
5.4% |
-37.7% |
|
HS애드 |
7,000 |
6,335 |
44,342,824 |
7,090 |
49,630,000 |
7.7% |
11.9% |
|
KPX홀딩스 |
480 |
61,195 |
29,373,497 |
59,800 |
28,704,000 |
4.4% |
-2.3% |
|
SNT홀딩스 |
500 |
-2,138 |
-1,068,859 |
33,150 |
16,575,000 |
2.6% |
-1650.7% |
|
현금 |
|
|
3,815,996 |
|
3,815,996 |
0.6% |
0.0% |
1,190 |
계 |
|
|
565,307,443 |
|
647,052,996 |
100.0% |
14.5% |
8,091,670 |
수입 배당금 |
|
|
|
|
22,995,610 |
3.9% |
3.9% |
|
평가액 + 배당금 |
|
|
|
|
670,048,606 |
|
|
|
기초: |
591,772,526 |
평가손익률: |
13.23% |
주식: |
99.4% |
643,237,000 | ||
평가손익금: |
55,280,470 |
현금: |
0.6% |
3,815,996 | ||||
종 목 |
수 량 |
단 가 |
금 액 |
수수료 |
금 액 |
정 산 |
잔 액 |
비 고 |
신영증권 |
42 |
90,800 |
3,813,600 |
6,177 |
3,807,423 |
3,807,423 |
3,815,996 |
매도 |
배당금 출금 |
|
|
|
|
|
-740,250 |
8,573 |
대체 |
농심홀딩스 |
350 |
2,500 |
875,000 |
134,750 |
740,250 |
740,250 |
748,82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2,598,920 |
8,573 |
대체 |
미창석유 |
200 |
3,000 |
600,000 |
92,400 |
507,600 |
507,600 |
2,607,493 |
배당 |
코리안리 |
4,800 |
515 |
2,472,000 |
380,680 |
2,091,320 |
2,091,320 |
2,099,89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2,884,860 |
8,573 |
대체 |
부국증권(우) |
2,200 |
1,550 |
3,410,000 |
525,140 |
2,884,860 |
2,884,860 |
2,893,43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3,257,100 |
8,573 |
대체 |
HS애드 |
7,000 |
550 |
3,850,000 |
592,900 |
3,257,100 |
3,257,100 |
3,265,67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1,269,000 |
8,573 |
대체 |
한국자산신탁 |
15,000 |
100 |
1,500,000 |
231,000 |
1,269,000 |
1,269,000 |
1,277,57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228,330 |
8,573 |
대체 |
무학 |
2,076 |
130 |
269,880 |
41,550 |
228,330 |
228,330 |
236,903 |
배당 |
예탁금 이자 |
1,390 |
1 |
1,390 |
200 |
1,190 |
1,190 |
8,573 |
이자 |
배당금 출금 |
|
|
|
|
|
-4,357,200 |
7,383 |
대체 |
대덕 |
3,300 |
500 |
1,650,000 |
0 |
1,650,000 |
1,650,000 |
4,364,583 |
배당 |
메가스터디 |
4,000 |
800 |
3,200,000 |
492,800 |
2,707,200 |
2,707,200 |
2,714,58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3,320,550 |
7,383 |
대체 |
서원인텍 |
7,500 |
350 |
2,625,000 |
404,250 |
2,220,750 |
2,220,750 |
3,327,933 |
배당 |
KPX홀딩스 |
400 |
3,250 |
1,300,000 |
200,200 |
1,099,800 |
1,099,800 |
1,107,18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1,269,000 |
7,383 |
대체 |
진양홀딩스 |
10,000 |
150 |
1,500,000 |
231,000 |
1,269,000 |
1,269,000 |
1,276,38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2,030,400 |
7,383 |
대체 |
모토닉 |
4,000 |
600 |
2,400,000 |
369,600 |
2,030,400 |
2,030,400 |
2,037,783 |
배당 |
미창석유 |
50 |
99,814 |
4,990,700 |
8,083 |
4,982,617 |
4,982,617 |
7,383 |
매도 |
신영증권 |
67 |
75,000 |
5,025,000 |
603 |
5,025,603 |
-5,025,603 |
|
매수 |
펀드(숙향 2) - 배당금 운용 |
운용기간: 18년 (2021-10-01 ~ 2039-09-30) |
운용금액: 배당금 | ||||||
종 목 |
잔 고 |
보유 주식 평가 |
보유 비중 |
평가손익률 |
매매 손익 | |||
수 량 |
매수단가 |
매수 금액 |
현재가 |
평가 액 | ||||
대덕 |
1,700 |
6,834 |
11,617,076 |
7,910 |
13,447,000 |
10.5% |
15.8% |
|
메가스터디 |
2,500 |
11,483 |
28,707,316 |
10,660 |
26,650,000 |
20.9% |
-7.2% |
|
모토닉 |
2,200 |
8,383 |
18,443,430 |
9,590 |
21,098,000 |
16.5% |
14.4% |
|
무학 |
1,300 |
6,795 |
8,834,059 |
7,290 |
9,477,000 |
7.4% |
7.3% |
|
부국증권(우) |
300 |
20,540 |
6,161,920 |
21,700 |
6,510,000 |
5.1% |
5.6% |
|
서원인텍 |
2,500 |
5,537 |
13,841,348 |
5,340 |
13,350,000 |
10.4% |
-3.5% |
|
한국캐피탈 |
6,972 |
569 |
3,967,544 |
580 |
4,043,760 |
3.2% |
1.9% |
|
HS애드 |
3,000 |
6,309 |
18,928,480 |
7,090 |
21,270,000 |
16.6% |
12.4% |
|
KPX홀딩스 |
200 |
54,664 |
10,932,784 |
59,800 |
11,960,000 |
9.4% |
9.4% |
|
현금 |
|
|
526 |
|
526 |
0.0% |
0.0% |
5,771,020 |
계 |
|
|
121,434,483 |
|
127,806,286 |
100.0% |
5.2% |
5,771,020 |
기초: |
114,007,407 |
평가손익률: |
12.10% |
주식: |
100.0% |
127,805,760 | ||
평가손익금: |
13,798,879 |
현금: |
0.0% |
526 | ||||
종 목 |
수 량 |
단 가 |
금 액 |
수수료 |
금 액 |
정 산 |
잔 액 |
비 고 |
한국캐피탈 |
6,972 |
569 |
3,967,068 |
476 |
3,967,544 |
-3,967,544 |
526 |
매수 |
배당금 출금 |
|
|
|
|
|
740,250 |
3,968,070 |
대체 |
배당금 출금 |
|
|
|
|
|
2,598,920 |
3,227,820 |
대체 |
무학 |
300 |
7,110 |
2,133,000 |
255 |
2,133,255 |
-2,133,255 |
628,900 |
매수 |
서원인텍 |
500 |
5,300 |
2,650,000 |
318 |
2,650,318 |
-2,650,318 |
|
매수 |
배당금 출금 |
|
|
|
|
|
2,884,860 |
5,412,473 |
대체 |
부국증권(우) |
300 |
1,550 |
465,000 |
71,610 |
393,390 |
393,390 |
2,527,613 |
배당 |
KPX홀딩스 |
80 |
56,700 |
4,536,000 |
544 |
4,536,544 |
-4,536,544 |
2,134,223 |
매수 |
배당금 출금 |
|
|
|
|
|
3,257,100 |
6,670,767 |
대체 |
HS애드 |
3,000 |
550 |
1,650,000 |
254,100 |
1,395,900 |
1,395,900 |
3,413,667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1,269,000 |
2,017,767 |
대체 |
배당금 출금 |
|
|
|
|
|
228,330 |
748,767 |
대체 |
모토닉 |
87 |
9,210 |
801,270 |
96 |
801,366 |
-801,366 |
520,437 |
매수 |
메가스터디 |
330 |
10,270 |
3,389,100 |
406 |
3,389,506 |
-3,389,506 |
1,321,803 |
매수 |
무학 |
1,000 |
6,700 |
6,700,000 |
804 |
6,700,804 |
-6,700,804 |
|
매수 |
예탁금 이자 |
1,640 |
1 |
1,640 |
240 |
1,400 |
1,400 |
11,412,113 |
이자 |
배당금 출금 |
|
|
|
|
|
4,357,200 |
11,410,713 |
대체 |
대덕 |
1,411 |
500 |
705,500 |
0 |
705,500 |
705,500 |
7,053,513 |
배당 |
메가스터디 |
2,022 |
800 |
1,617,600 |
249,100 |
1,368,500 |
1,368,500 |
6,348,013 |
배당 |
배당금 출금 |
|
|
|
|
|
3,320,550 |
4,979,513 |
대체 |
서원인텍 |
1,900 |
350 |
665,000 |
102,410 |
562,590 |
562,590 |
1,658,963 |
배당 |
KPX홀딩스 |
120 |
3,250 |
390,000 |
60,060 |
329,940 |
329,940 |
1,096,373 |
배당 |
메가스터디 |
148 |
10,160 |
1,503,680 |
180 |
1,503,860 |
-1,503,860 |
766,433 |
매수 |
배당금 출금 |
|
|
|
|
|
1,269,000 |
2,270,293 |
대체 |
대덕 |
289 |
7,100 |
2,051,900 |
246 |
2,052,146 |
-2,052,146 |
1,001,293 |
매수 |
배당금 출금 |
|
|
|
|
|
2,030,400 |
3,053,439 |
대체 |
모토닉 |
2,000 |
600 |
1,200,000 |
184,800 |
1,015,200 |
1,015,200 |
1,023,039 |
배당 |
펀드(숙향 1 + 2 합산) |
운용기간: 18년 (2021-10-01 ~ 2039-09-30) |
운용금액: 5.0억 + 배당금 | ||||||
종 목 |
잔 고 |
보유 주식 평가 |
보유 비중 |
평가손익률 |
매매 손익 | |||
수 량 |
매수단가 |
매수 금액 |
현재가 |
평가 액 | ||||
주식 |
|
|
|
|
771,042,760 |
99.5% |
|
|
현금 |
|
|
|
|
3,816,522 |
0.5% |
|
|
계 |
|
|
|
|
774,859,282 |
100.0% |
|
|
기초: |
682,784,323 |
평가손익률: |
13.49% |
주식: |
99.5% |
771,042,760 | ||
평가손익금: |
92,074,959 |
현금: |
0.5% |
3,816,522 |
매매
펀드(숙향 1)
지난 달에 이어 남아있던 미창석유 50주를 전량 매도해서 (홈플러스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해서) 주가가 많이 하락한 신영증권을 매수했는데, 신영증권 주가가 월말에 크게 올랐을 때는 끝 단위/소량 매도했습니다.
4월 중에 입금된 13개 기업의 배당금 21,955,610원을 펀드(숙향 2)로 옮겼습니다.
매도
미창석유: 50주 매도해서 수익 실현
4/01, 50주 * @99,814
신영증권: 42주 매도함으로써 2,200주 보유
4/30, 42주 * @90,800
매수
신영증권: 67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2,242주로 늘렸습니다.
4/01, 67주 * @75,000
펀드(숙향 2)
펀드(숙향 1)에 입금된 배당금을 넘겨받은 금액과 계좌에 입금된 배당금 전액을 주식 매수에 사용했습니다.
- 무학을 (숙향 2)에 새로 들였고
- 한국캐피탈은 남아 있던 현금을 모두 털어내어 매수, 펀드(숙향)의 새 식구로 맞았습니다.
매수
대덕: 289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1,700주로 늘렸습니다.
4/07, 289주 * @7,100
메가스터디: 478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2,500주로 늘렸습니다.
4/09, 148주 * @10,160
4/11, 330주 * @10,270
모토닉: 87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2,200주로 늘렸습니다.
4/14, 87주 * @9,210
서원인텍: 500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2,500주로 늘렸습니다.
4/22, 500주 * @5,300
KPX홀딩스: 80주 매수해서 보유량을 200주로 늘렸습니다.
4/18, 80주 * @56,700
무학: 1,300주를 매수해서 펀드(숙향 2)에도 새 식구로 맞았습니다.
4/11, 1,000주 * @6,700
4/22, 300주 * @7,110
한국캐피탈: 6,972주를 매수해서 펀드(숙향)에 신규 편입했습니다.
4/25, 6,972주 * @569
* 매매한 주식들의 간단 투자 지표
미창석유_ PER: 2.97 / PBR: 0.38 / PDR: 2.9%
대덕_ PER: 12.29 / PBR: 0.45 / PDR: 6.3%
메가스터디_ PER: 7.55 / PBR: 0.38 / PDR: 7.5%
모토닉_ PER: 6.40 / PBR: 0.44 / PDR: 6.3%
무학_ PER: 3.99 / PBR: 0.34 / PDR: 7.1%
서원인텍_ PER: 5.61 / PBR: 0.46 / PDR: 6.6%
신영증권_ PER: 7.13 / PBR: 0.41 / PDR: 5.0%
한국캐피탈_ PER: 2.24 / PBR: 0.27 / PDR: 5.2%
KPX홀딩스_ PER: 3.02 / PBR: 0.23 / PDR: 7.1%
한국캐피탈
- 이번 달에 소액 매수함으로써 새 식구를 맞았는데, 투자지표 계산에 있어서 착각한 게 있었습니다.
80.4%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 ‘군인공제회’로부터 30년 만기 영구채로 1.500억원을 차입했는데
- 이 차입금은 명백히 ‘부채’지만 (회계상 편의(?)에 의해) 자본금 계정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 따라서 BPS는 자기자본 6,737억원으로 산출한 2,135원이 아닌 5,237억으로 산출한 1,659원이 옳습니다.
- 하지만! 당기순이익 811억원으로 계상한 PER 2.24, 조정 계산한 PBR 0.35는 (무척) 쌉니다.
배당성향이 10% 초반에 불과한데, 배당증대 추세와 정부 정책에 맞춰 늘릴 가능성을 높게 보았지만!
- 후순위채 1,500억원에서 수령하는 이자수입이 있고 여신 전문 금융기관으로서 자본금을 키워야 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배당증액 가능성은 낮아지더라는 OTL
한국캐피탈 (023760) |
(단위:억) | ||||||
1. 실적 |
2024. 12 |
2023. 12 |
2022. 12 |
2021. 12 |
2020. 12 |
2019. 12 |
2018. 12 |
매 출 액 |
4,678 |
3,910 |
3,008 |
2,430 |
2,062 |
1,800 |
1,432 |
영 업 이 익 |
969 |
821 |
889 |
747 |
420 |
269 |
208 |
당기순이익 |
811 |
662 |
651 |
531 |
321 |
210 |
168 |
자 산 |
44,603 |
39,002 |
34,683 |
32,992 |
26,780 |
22,634 |
19,342 |
부 채 |
37,866 |
32,882 |
30,117 |
28,950 |
23,712 |
19,803 |
16,785 |
자 본 총 액 |
6,737 |
6,120 |
4,566 |
4,042 |
3,068 |
2,831 |
2,557 |
(자 본 금) |
1,578 |
1,578 |
1,578 |
1,578 |
1,578 |
1,578 |
841 |
비지배 지분 |
0 |
0 |
0 |
0 |
0 |
0 |
0 |
순 자본총액 |
6,737 |
6,120 |
4,566 |
4,042 |
3,068 |
2,831 |
2,557 |
BPS |
2,135 |
1,939 |
1,447 |
1,281 |
972 |
897 |
1,520 |
EPS |
257 |
210 |
206 |
168 |
102 |
67 |
100 |
ROE |
12.0% |
10.8% |
14.3% |
13.1% |
10.5% |
7.4% |
6.6% |
배당금 |
30 |
28 |
28 |
35 |
25 |
25 |
20 |
- 배당성향 |
11.6% |
13.2% |
13.4% |
20.6% |
19.6% |
31.1% |
3.7% |
- 배당총액 |
93.8 |
87.5 |
87.5 |
109.4 |
62.8 |
65.3 |
6.2 |
* 자사주 |
2,869 |
0.9% |
|
PER |
2.24 |
주가 |
580 |
- 주식총수 |
315,610 |
시가총액 |
1,831 |
PBR |
0.27 |
2025-04-30 | |
- 자사주차감 |
312,741 |
시가총액 |
1,814 |
PSR |
0.39 |
PDR |
5.2% |
매수하는 와중에 만나던 친구들에게 엄청 싼 주식 발견했다고 떠벌리기도 했는데
- 이후 저의 꼼꼼하지 못한 분석으로 인해 실수를 저질렀음을 알아챘겠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관점에서) 지금 가격은 내재가치에 비해 많이 싸다는 점은 확실해 보입니다.
- 최근 7년 동안 매출/영업이익/당기순이익이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고위험 대출처를 대상으로 고금리 여신 사업을 영위한다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시점에서 불안 요인이지만, 지금까지 잘 해온 경영진의 능력/판단을 믿을 수밖에
마무리 글에 소개할, 앤서니 볼턴의 책에서 다음 문장을 여러 차례 읽고서, ‘한국캐피탈’을 편입하기로 마음먹게 되었음을 밝혀 둘 필요가 있겠네요. 지금 심은 게 꽃인지 잡초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생각을 점검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데 시간을 충분히 할애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라. 새로운 주식을 거의 편입하지 않는 포트폴리오는 한물간 것이 되어버릴 수 있다.
4. 펀드(숙향)의 포트폴리오 가치
- 15개 보유 종목에 대한 투자지표
4-1. 현금을 포함한 현재 계좌 평가액 7.75억원에 대한 예상 배당금은 세전 6.2%, 세후 5.2%입니다.
- (예상 세후)배당금은 40,351,800원으로 2024년 실제 수입 배당금에 비해 7,871,610원 더 많습니다.
4-2. 15개 종목을 단순 평균한 투자지표는 PER 6.09 / PBR 0.38로 매우 쌉니다.
4-3. 현재 포트폴리오의 평가액은 7.75억원이지만 대략적으로 계산한 내재가치는 15.69억으로 7.94억원의 안전마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마무리
앤서니 볼턴에 대해 피터 린치는 자신이 그와 비교되는 것이야 말로 최고의 찬사라고 했는데요. 볼턴이 피델리티에서 펀드매니저로 활동한 28년(1979~2007년) 동안의 운용수익률이 연평균 19.5%였다고 하니까, 과연 그럴 만합니다.
앤서니 볼턴이 2007년 말 은퇴한 다음에 쓴 책이 [Investing Against the Tide in 2009, 번역서: 투자의 전설 앤서니 볼턴]인데, 작년 10월에 개정판으로 재 출간되었습니다. 2018년에 독후감을 썼고 이후에도 읽었던 책이지만 이번에 6번째로 읽을 때는 좋은 성적 때문에 자꾸만 들뜨려는 제 마음을 누르는데 도움을 받았는데요. 이번 읽기에서 더더욱 와 닿았던 글 몇 꼭지를 옮기는 것으로 4월을 마감합니다.
가격은 그 자체로 투자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떨어지는 주가는 불확실성과 우려를 창출하고 오르는 주가는 자신감과 확신을 가져다 준다. 이런 경향을 이해하는 것이 투자에 있어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훌륭한 투자자는 이런 경향에 스스로 저항해야 한다.
우리는 집요한 분할 매수로 주식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추려 한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은 명백해 보인다. 첫째, 지속적으로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팔 수 있는 사람은 없다(버나드 바루크의 말을 빌자면 거짓말쟁이만 빼고). 둘째, 평균 단가가 가장 낮은 쪽이 이긴다. 우리는 우리가 보유한 주식의 가격이 떨어질 때 추가적인 매수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 빌 밀러
내 경험에 따르면 시장의 방향을 예측하기란 대단히 어려운데다 일관되게 예측하기란 더더욱 어렵다. 내가 조언하고 싶은 것은 (나 이전에도 많은 이들이 말했듯) 일반적으로 시장을 예측하거나 매수/매도 시점을 선택하려는 노력은 하지 말라는 것이다. 시장이 상승세일 때 낙관주의자가 되고 하락세일 때 비관주의자가 되는 것은 사람들의 일반적 경향이다. 우리를 둘러싼 뉴스의 환경이 그렇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매수와 매도의 시점을 선택하려면 시장 일반의 분위기를 거스를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는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도 알아야 한다. 어떤 추세가 지속되리라는 믿음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을수록 그렇게 될 확률은 낮아진다.
시장의 바닥에서는 불확실하고 걱정스러운 일반적 환경이 펼쳐질 것이다. 나는 때때로 동료들에게 이렇게 말하곤 한다. "여러분이 심연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금융 시스템이 곧 붕괴될 것 같고 다시는 주식을 사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 같지만, 해뜨기 직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며 바로 이때가 시장이 방향 전환을 하는 때이다. 이때쯤 되면 이미 투자자의 생각 속에 나쁜 뉴스가 모두 스며들었을 것이며, 팔 사람은 이미 다 팔았을 것이다." 시장은 매수자가 나타나기 때문이 아니라 매도자가 매도를 중단할 때 바닥을 치는 것이다.
피터 린치가 이 책 추천사를 쓰면서 볼턴에 대해 평가한 글이 있는데, 이 문장을 읽으면서, 저도 ‘그래야지!’ 하고 다짐하기도 했습니다.
앤서니 볼턴은 가장 영국적인 의미로서 '쿨 cool'하다. 그는 열렬하면서도 쉽사리 동요되지 않고 격렬하면서도 고요하다. 이것이야 말로 자산운용가의 으뜸가는 자질이다.
펀드(숙향)의 운용 개요
펀드(숙향1)은 투자 원금 5억원으로 펀드(숙향2)는 펀드(숙향1)에 입금된 배당금을 넘겨받은 돈으로 운용합니다.
- 따라서 펀드(숙향)의 실적은 펀드(숙향1)과 펀드(숙향2)를 합산한 마지막 표, 펀드(숙향 1+2 합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8년(2021-10~2039-09) 동안 운용하므로 시장을 이기고 원하는 수익률을 얻는데 충분한 기간입니다.
펀드(숙향2)의 기초 자금은 펀드(숙향1)에 입금된 배당금을 넘겨 받은 금액입니다.
- 지금까지 적립된 투자금: 100,384,130원
-> 2022년: 21,839,920 + 2023년: 26,563,000 + 2024년: 28,985,600 + 2025년: 22,995,610원
- 단, 배당금은 수익이므로 펀드(숙향 1+2 합산)에 표시되는 총 기초자금에는 이 금액이 더해지지 않습니다.
펀드(숙향)을 공개하면서 밝혔듯이,
- 펀드(숙향 1)은 은퇴 자금 5억원을 운용하면서 입금되는 배당금을 생활비로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고
- 펀드(숙향 2)는 입금되는 배당금을 재투자해서 계속 불려나가는 데 있습니다. 즉 은퇴 후를 대비해서 투자금을 모으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죠.
원문보기(출처) 👉 가치투자연구소 카페글
댓글이 없습니다.